오늘은 빔 프로젝터 추천 포스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빔 프로젝터는 사용 환경에 따라 고려해야할 점들이 있습니다. 때문에 빔 프로젝터를 고를때 어떤 점을 숙지해야 할지부터 시작해 상품추천까지 모두 다뤄보겠습니다.
해당글을 읽으시면 별다른 고민없이 빔 프로젝터를 구입하실수 있을겁니다. 복잡한 원리와 기능설명보다는 최대한 쉬운 설명으로 풀어가볼테니, 해당 글을 통해 가장 적합한 빔 프로젝터를 선택해보시기 바랍니다.
1. 사용 환경 분석
1) 충분한 투사거리
화면이 크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극장 맨 앞자리에서 영화를 본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목만 아프고 너무 화면이 커서 제대로된 시청이 불가능하겠죠?


TV를 고를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좁은 공간에 대형인치의 TV를 설치하면 오히려 불편하기만 합니다. 사람의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빔 프로젝터는 사람의 눈과 비슷합니다.
- 1~2m : 50인치
- 2~3m : 80인치
- 3~4m : 100인치
- 4~5m : 140인치
즉, 큰 화면을 위해서는 최소한 2~3m 이상의 거리확보가 필요합니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인치가 적어지고, 멀수록 인치가 늘어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2) 투사거리 짧다면?
충분한 투사거리를 확보한다면 ‘일반형’ 프로젝터가 가장 무난합니다. 일반형이 가격도 저렴하고요.
만약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지 않거나 혹은 거리는 되는데, 공간활용이 어려운 경우 단초점 프로젝터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초점 프로젝터는 1m이하의 거리에서도 100인치 이상의 대화면을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일부제품은 50cm 이하의 거리로도 100인치 이상의 화면을 만들어냅니다. 물론 당연히 그만큼 가격은 올라가겠죠.
대표적으로 회의실 같은 경우단초점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회의실에 일반형 프로젝터를 설치하면 프로젝터 앞으로 사람이 지나갈때마다 화면에 그림자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혹은 ‘줌’ 기능이 포함된 일반형을 구입하시는 대안도 있습니다.
3) 밝기
TV도 마찬가지지만 빔 프로젝터의 경우 빛이 차단되면 차단될수록 화면이 또렷이 보입니다. 만약 지하실, 창문없는 실내, 암막커튼으로 빛을 완전히 차단할수 있는 공간이라면 중저가의 제품도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만약 야외에서 사용할 목적이라면 밝기가 뛰어난 고스펙 제품을 구입하셔야 합니다. 빔프로젝터 구입 실패의 가장 큰 이유가 바로 ‘밝기’입니다.
4) 무게
캠핑장 등 야외에서 사용할 목적이라면 휴대성도 중요합니다. 집에서 사용할 거라면 ‘스펙’위주로만 보시면 되고, 휴대를 해야 한다면 ‘무게’까지 함께 고려하시는게 좋습니다.
5) 정리
위 사항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거실 사용시 : TV대용이라면, 밝기 우수한 제품 유리
- 회의실 사용시 : 단초점, 초단초점 제품이 유리
- 빛 차단 가능한 실내 : 중저가 가성비 위주 유리
- 야외 사용시 : 가볍고, 밝기 우수한 제품 유리
대략 이러한 기준을 세워볼수 있겠습니다.
2. 연결 편의성
요즘같은 세상에 PC나 USB로 영화를 다운받아서 그걸 다시 빔프로젝터에 연결해서 시청을 한다? 이렇게 사용하고 싶은 분들은 없을겁니다.
때문에 넷플릭스나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등 OT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체 OS가 내장되어 있는 제품을 구입하시는게 좋습니다. 같은 스펙이라도 가격이 약간 더 비싸지만 편의성을 고려하면 200% 추천드립니다.
물론 자체 OS가 없어도 크롬캐스트 등을 설치해 활용할수 있기 때문에 필수 사항은 아닙니다.
3. 화질 : 밝기, 해상도, 명암비
빔프로젝터를 따질때 화질을 고려해야 합니다.
- 투사방식 : 3LCP, DLP
- 광원 종류 : 레이저, LED, 램프
- 밝기 : 안시루멘
- 해상도 : FHD(일반), UHD(고화질영화)
투사방식, 광원종류 등의 사항은 너무 복잡하고, 알필요도 없습니다. 밝기와 해상도 명암비가 우수한 제품일수록 화면이 선명해진다! 까지만 알고 제품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만 밝기(안시루멘)의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권장되는 밝기를 알아두시는게 좋습니다.
- 어두운밤, 빛이 완전히 차단된 환경 : 300~500 안시루멘 가능
- 주변광이 약간있고, 암막 커튼을 친 실내 : 500~1,000 이상추천
- 일반 커튼을 친 실내 : 1,000~2,000 이상 추천
- 커튼 없는 낮 실내 : 2,000~3,000 이상 추천
- 조명킨 사무실, 학원, 강의실 등 : 최소 3,000~4,000 추천
위 제시한 안시루멘은 상황별 최소 밝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용지가 어디건 안시루멘(밝기)은 높을수록 좋습니다.
4. 소음
빔 프로젝터는 소음이 납니다. 당연히 소음이 크면 영상 시청에 방해가 되겠죠. 일반적으로 빔 프로젝터의 소음은 30~40데시벨 사이면 큰 불편함 없이 시청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20데시벨 : 시계초침, 나뭇잎 부딪히는 소리
- 30데시벨 : 심야의 교외, 속삭이는 소리
- 40데시벨 : 도서관, 주간의 조용한 주택
- 50데시벨 : 조용한 사무실
- 60데시벨 : 조용한 승용차. 보토의 대화
- 70데시벨 : 전화벨, 시끄러운 사무실
- 80데시벨 : 지하철 차내 소음
하지만 이보다 크면 영상 시청에 방해가 됩니다. 제조사 측정단위만 보지말고, 후기를 함께 보셔야 합니다. 소음의 경우 측정 기준이 애매하기 때문에 실제 후기를 꼭 확인하시는게 가장 정확합니다.
5. 사운드
거의 모든 빔 프로젝터에는 내장 스피커가 달려있습니다. 하지만 내장 스피커의 음질은 조악한 편입니다. 쓸만하다면 가격이 올라가고요. 때문에 스피커는 처음부터 별도로 구입한다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4. 빔 프로젝트 추천 : TV대용으로 사용시
거실에서 TV 대용으로 사용하신다면 뭐니뭐니해도 밝기와 선명한 화면, 그리고 큰 화면이 중요하겠죠. 100인치 정도의 화면을 송출하기 위해서는 아래제품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 2~4m 이상의 투사거리 확보 가능한 경우 : 일반형 구입 추천
- 투사거리 확보 어렵거나, 공간활용 극대화 측면 : 단초점, 초단초점 구입 추천
- 최소 1,500~3000 안시루멘으로 밝기가 우수한 제품 구입 추천
위 기준에 따른 추천상품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5. 빔 프로젝터 추천 : 휴대용으로 사용시
캠핑 등 야외활동에 사용하실 목적이라면 편의성과 휴대성, 그리고 밝기를 두루 고려하셔야 합니다. 5가지 상품을 추천드립니다.
위 추천상품에 대한 상세한 리뷰는 하단의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우리집에 영화관 만들기 : 가정용 빔프로젝터 TOP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